▲ 김규정/한학자
▲ 김규정/한학자

述夫玄機寥廓 雷風驅妙有之功 大氣洪濛 淸混結乾元之氣 不爲王家之龍首 必作佛會之鷲頭 玆寺也 三韓古基 萬古福地 重修廣拓 麗季懶翁 並出助緣 漢初無學 盖二聖胥宇歷銓而共唶曰 三門韜霧 接崑閬於玉都 八洞莊雲 引蓬瀛於貝闕 乃得造化翁偃泊之處 果見龍神部擁護之場 依俙建德乾坤 瀟洒華胥風色 鬱乎畢陌之佳氣 藹然祗樹之芳林 奚啻莊點佛家 亦當壽封王隧 然物各有主 豈人自不知 年無窮世無窮 封蔽幾日 地有待數有待 發揮此時 遂與先搆乎上章望月馬峯等三庵 仍歃其牛頭甘露淸溪等三水 紀元卽洪武甲戌歲也 旣而正點特址 廣設招提 募緣檀門 施心泉湧 蕆役化所 杍工風趍 濫觴當年 覆蕢不日 揚萬日名寺 擬千古流光 始爲百濟王願堂 永作三寶尊法界 載諸輿地勝覽 傳乎山水奇觀 雖處湖隅 獨步海表 至景泰庚午歲 回祿飛火 鞠爲煨燼 神馬含悲 忍看荊棘 厥後寺僉 各奮其力 重修卽時 至於辛酉之年 又被倭火流毒 甲子之歲 再見兵燹所焚 粤萬曆癸卯歲 有智堅性天如干軰出 匪石其心 斷金其利 聚工役所 巧手陾陾 募緣檀門 施心翼翼 造法堂與佛像 構禪堂又僧堂 自若爲一無憂 安妥過百餘稔 緇徒稍集 喜見賀厦之玄禽 遊客遠臨恐遭擁道之於菟 逮崇禎後乙酉 有頭陀僧時策 乃繪畫佛幀 擬重修晬堂 以病遄亡 可朕其惜 於丁酉歲 主寺僧慧丹與寺僉同謀計 募衆緣鳩檀財 不日告功 重新復古 時乎至矣 數亦當㦲 若余者 學海微漚 緇林病葉 引領仙山徒 借魂而徃來 落筆眞蹟 還愧心而趦趄 敢爲詞曰 法王應運 利見天下 玉毫兌照雞林震化 麗季漢初 翁也學也 萬古一時 並行同軻 遍踏山川 箇箇遺讖 裨補國家 百世垂陰 福國祐世 捨此奚適 敢把腐毫 聊札佳蹟

[無竟集文稿]卷之三

◆회문산 만일사 사적사 인

서술하자면 저 신묘한 계책(玄機)은 텅 빈 하늘에서 우레와 바람이 묘유의 공업(妙有之功)을 몰고 대기는 무질서하여(大氣洪濛) 맑고도 혼탁한 건원의 기가 맺히니 왕가(王家)의 용수(龍首, 왕궁)가 되지 않았다면 반드시 불회(佛會, 불보살 성중이 모인 곳. 淨土)의 취두(鷲頭, 耆闍崛山)가 되었을 것이다.

이 절집을 말하자면 삼한의 옛터(三韓古基)에 자리 잡은 만고의 복지로 중수하여 널찍하게 넓힌 분은 고려 말의 나옹화상(懶翁和尙,1320~1376)이고 아울러 인연을 도운 이는 조선 초의 무학 대사(無學大師,1327~1405)이다.

대체로 이성(二聖, 나옹화상과 무학 대사)이 집터를 보고 역력히 저울질하고 나서 함께 감탄하며 말하기를, “삼문(三門, 사원의 樓門)은 안개가 감추고 곤륜산 정상 선경 낭풍원(閬風苑)은 옥도(玉都, 백옥루)와 접하고 팔동(八洞, 神仙이 산다는 곳)에 구름이 무성하니 호화찬란한 궁궐(貝闕, 패궐. 바다 속 龍王이 산다는 龍宮)은 봉래와 영주를 끌어당긴다.”고 했다.

이에 조물주(造化翁)가 쉬고 머물 곳을 얻었으니 과연 8부의 용신이 옹호하는 도량(擁護之場)을 보았다. 

건덕(建德, 이상향)의 세계가 어렴풋이 생각나고 화서(華胥, 이상 국가)의 바람 움직임(風色)처럼 맑고 깨끗해서(瀟洒) 필맥(畢陌, 주나라 문ㆍ무왕ㆍ주공이 묻힌 곳)의 아름다운 기운이 성대하고 기수(祇樹, 祇陀太子의 숲)의 좋은 향기가 있는 숲(芳林)은 초목이 무성하니 어떻게 불가(佛家)만이 장엄할 뿐이겠는가.

또한 마땅히 왕릉(王隧)이 된다면 오래갈 봉분이다. 그러나 만물은 각각 주인이 있으니 어찌 인간만 스스로 모르겠는가(然物各有主豈人自不知). 

대대로 무궁한 세월동안 가려 있다가 어느 날 땅도 며칠을 기다려 이때가 발휘되기를 기다렸다.

마침내 먼저 상장(上章)ㆍ망월(望月)ㆍ마봉(馬峯) 등 세 암자를 세우고 연거푸 우두(牛頭)ㆍ감로(甘露)ㆍ청계(淸溪) 등의 세 가지 물을 마시니 기원은 바로 홍무 갑술년(태조3년1394)이었다.

얼마 안 있어 바로 특별한 터를 잡아 널다 란 사원을 설립하고 단문(檀門, 시주)께 모연(募緣)하니 보시하려는 마음(施心)이 끊임없이 솟아 나와서 변화소작(變化所作, 변화시켜 나타내다)의 역사(役事)를 일으키자 공인(工人)들이 몰려들어와 그해에 시작하여 얼마 되지 않아 이루어냈다.

만일사(萬日寺)가 명성을 드날리며 천고에 오래도록 전해질 듯해서 처음에는 백제왕의 원당(百濟王願堂)이 되었다가 영원한 삼보의 높은 법계가 되었다.

다수의 <여지승람輿地勝覽>에 실려 산수의 기이한 경관이 전하니 비록 호남 구석에 있더라도 바다 바깥에서는 독보적이다.

경태 경오년(세종32년1450)에 이르자 회록(回祿, 불귀신의 이름)이 불씨를 날려 잿더미가 다되어 신마(神馬, 신마는 위급한 난을 건네어준다.<六度集經>)가 슬픔을 머금었으니 가시덤불 우거진 숲을 어찌 차마 보고만 있었겠는가.

그 후에 절의 대중들(寺僉)이 각자 자기의 힘을 분발(奮發)하여 즉시 중수했다.

신유년(명종16년1561)에 이르자 또 왜구가 방화한 해독을 입었고 갑자년(명종19년1564)에 다시 전쟁의 화재로 불에 탔다.

이에 만력 계묘년(선조36년1603)에 지견(智堅)ㆍ성천(性天)ㆍ여간(如干)의 무리가 나와 절친한 승려들이 확고부동한 마음으로 공사장에 공인을 모으자 솜씨가 뛰어난 사람이 많았으며 단문(檀門)이 모연하자 공경하고 삼가며 보시하려는 마음을 내었다.

법당(法堂)과 불상(佛像)을 조성하고 선당(禪堂)과 승당(僧堂)을 일으키자 하나의 근심도 없이 태연자약하게 백여 년을 안전하게 지냈다.

먹물 옷 입은 무리들이 차츰 모여들어(緇徒稍集) 제비가 큰집 지은 일을 기쁘게 보았고 유람객이 멀리서 찾아오니 길을 막는 범(於菟, 오도)을 만날까 두려워했다.

숭정기원후 을유년(숙종31년1705)에 미치자 두타 승 시책(頭陀僧時策)이 후불탱화를 그리고 법당을 중수하려하였으나 병으로 빨리 죽었으니 참으로 애석하게 여겼다.

정유년(숙종43년1717)에 절집주지 승 혜단(慧丹)이 절집의 대중들과 함께 계획을 도모하려고 여러 인연을 부르고 시주의 재물을 모았다.

오래지않아 완공을 알려 거듭 새롭게 하니 옛 모습으로 돌아갈 때가 이르렀고 운수도 마땅했다.

나 같은 사람은 학문 세계의 자잘한 거품(學海微漚)이고 치림(緇林, 佛家)의 병든 잎사귀로 선산(仙山)의 무리를 이끌고 있어 마음만 왕래할 뿐이어서 참된 자취를 기록함에 재차 부끄러운 마음으로 머뭇거리다 감히 글을 쓰며 이르기를,

法王應運 법왕이 시운에 응하시어

利見天下 천하를 만나 봄이 이롭구나.

玉毫兌照 옥호는 서쪽에서 빛나고

雞林震化 계림은 동쪽에서 교화되었다.

麗季漢初 고려 말 조선 초에

翁也學也 나옹 화상과 무학 대사가

萬古一時 무수한 세월에 한때 만나

並行同軻 함께 수레를 나란히 하였다.

遍踏山川 산천을 두루 답사하며

箇箇遺讖 곳곳에 참언을 남기시니

裨補國家 국가 비보사찰에

百世垂陰 영원한 음덕을 내려주었다.

福國祐世 나라에 복을 주고 시대를 도움에

捨此奚適 이를 버려두고 어디를 가겠는가.

敢把腐毫 감히 몽당붓 잡고서

聊札佳蹟 그런대로 아름다운 자취를 쓴다.

 

◆三敎說

-無竟子秀 大師(현종5년1664~영조13년1737)

敎雖三 理則一也 故李屏山曰 三聖之同出於周 如河漢之同滙於尾閭 張無盡曰 三敎之善世礪俗 猶鼎足之不可 缺一 胡今之人謂三敎異軆 而各權其所習耶 夫三河之人將適京也 河內之人取路於渠所習之處 而責河南河北之人曰 適京須由河內爾 何莫由斯路云 則兩河之人其信乎 若戾而强欲信之 則不惟不信 亦必有逢彼之怒 河內之人旣爾 兩河之人亦各如河內之人 則三河之人 各安其所習 而但知其三河之路不同 適京然後 始知其三河之路 是適京之不異也 三敎之發跡雖殊 所歸一理也 何異三河之發行雖殊 所適一京也㦲 盖以其跡而觀之 儒敎崇仁義 老敎崇自然 釋敎豈寂滅 雖其所崇不同 所習各異也 猶彼三光之隱現不同 而照曜各異也 以其理而觀之 猶彼三光之同出於一天 不有天外別有三光 則三敎同出於一理 豈有理外別有三敎㦲 其仁義也 自然也 寂滅也 三而一 一而三 相如並行而不相悖 則三敎之發跡殊 而所歸同于焉可見 豈可堅白而呶呶然終日指非指㦲 如欲知三敎之所歸一理 試觀三河之所適一京也

출전 [無竟集文稿]卷之二

◆삼교 설

가르침은 비록 셋(儒ㆍ佛ㆍ仙)이나 이치는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 병산(李屏山, 李純甫)이 말하기를, “세 성인(三聖)이 다 같이 주나라에서 나온 것은 황하와 한수가 다 같이 미려(尾閭, 바닷물이 빠져 나가는 곳)로 돌아나가는 것과 같다.”고 했다.

장 무진(張無盡, 張商英)이 말하기를, “삼교는 세상을 선하게 하고 세속을 바로 잡았으니(善世礪俗) 마치 솥발이 하나라도 망가져서는 안 되는 것과 같다.”라고 했다.

어찌하여 지금 사람들은 세 가르침(三敎)의 본체가 다르다고 말하며 각각 그들이 익히는 것만을 중시하는가.

대저 삼하(三河, 중국의 河南ㆍ河東ㆍ河北) 사람들이 경사(京師, 서울)를 가려고하면 하내(河內)사람들은 배워서 익힌 곳인 큰 길을 취하고서 하남ㆍ하북 사람들을 질책하며 말하기를 “경사를 가려면 모름지기 하내를 경유해야 되는데 왜 이 길을 경유하지 않는가.”라고 한다면 양하(兩河, 하남ㆍ하북) 사람들이 그 말을 믿겠는가. 

만약 사납게 억지로 믿게 한다면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드시 저들은 노여움에 봉착할 것이다.

하내 사람이 이미 그러하고 양하 사람도 각각 하내 사람과 같다면 삼하사람은 각각 그들이 익숙한 길을 편안히 여겨 다만 그들은 삼하의 길이 똑같지 않음만을 알고 경사에 당도한 뒤에야 비로소 그들은 삼하의 길이란 것은 경사로 가는 길이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될 것이다.

삼교의 출발과 자취는 다르지만 돌아간 곳은 하나의 이치(一理)이니 삼하의 출발과 길(發行)은 다르더라도 당도한 곳은 같은 경사인 것과 어찌 다르겠는가.

대체로 그 자취를 살펴보면 유교는 인의(仁義)를 높이고 도교는 자연(自然)을 높이고 불교는 적멸(寂滅)을 높이지만 그들이 높이는 것은 같지 않아도 익힌 것이 각각 다르다.

저 세 빛(三光, 해ㆍ달ㆍ별)의 은현(隱現, 숨었다가 나타났다 함)은 같지 않음과 같아서 밝게 빛나는 것은 각각 다르다.

그 이치로 살펴보면 저 세 빛은 한 하늘에서 함께 나온 것과 같아서 하늘밖에 따로 세 빛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삼교(三敎)는 다 같이 하나의 이치에서 나왔으니 어찌 이치밖에 따로 삼교가 있을 수 있겠는가.

그 인의, 자연, 적멸이라는 것은 셋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셋인지라 서로 더불어 행해도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면 삼교의 출발과 자취가 달라도 돌아가는 곳은 다 같다는 것을 여기에서 알 수가 있다.

어찌 억지 논리(堅白)로 왈가왈부하며 종일토록 시비를 따지겠는가마는 만약 삼교가 돌아가는 곳이 하나의 이치라는 것을 알고 싶다면 시험 삼아 삼하(三河)가 가는 곳은 다 같은 경사(一京)인 것을 관찰해 보면 된다.
 

▲전북 순창 회문산 만일사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