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전환과 발전에 따른 환경문제가 날로 심각해지면서 하나뿐인 지구의 자연은 이미 자생력을 잃어버리고 빙하와 만년설이 녹아내리는 기후 변화로 지구촌 곳곳에서 혹한과 폭염, 대홍수와 가뭄에 따른 사막화는 삶의 터전마저 빼앗아 인류의 생존 문제가 심각하게 우려되는 상황이다.

 인류는 산업혁명에 이은 자본주의경제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서 빈곤으로부터 해방과 생활의 편리함이야 이루 말할 수 없이 발전한 반면 이로 인한 자연환경의 파괴는 이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르러 그 자체로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기도 하지만 어느 지역에선 분쟁과 폭력의 원인이 되거나 예기치 못한 피해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연합은 제1,2차 세계대전으로 수천만에 이른 살상을 겪은 다음 생명 존중의 가장 큰 피해를 전쟁으로 보고, 1948년 12월 10일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대하여 모든 인류 구성원의 천부의 존엄성과 동등하고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자유ㆍ정의 및 평화의 기초이며, 인권에 대한 무시와 경멸이 인류의 양심을 격분시키는 만행을 초래하였음을 자각하는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했다.

하지만 이제 자연환경의 파괴로 인한 기후 변화는 가뭄과 질병, 기근 등으로 위기를 넘어 참사 내지 재앙으로 치닫아 전쟁보다 더 광범위하게 우리의 삶을 깡그리 망가뜨린 현실이 지구촌 곳곳에서 나타남으로써 인류의 미래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인류학자들에 의하면 인류문명은 기원부터 자본주의가 등장하기 이전인 1800년대까지 5배 정도 발전했던 것이 자본주의의 등장으로 불과 200여 년 만에 100배 이상 집약적으로 성장하면서 이에 따른 자연환경의 파괴는 이제 자생력을 잃어버려 이대로는 인류가 22세기를 맞이할 수 없는 인류의 종말이 필연적이란 것이다.

이에 대한 전조현상은 지구촌 곳곳에서 이상기온으로 가뭄과 대홍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만년설과 빙하가 녹아내리는 현상은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러 이를 극복해 나가기 위해선 국민은 물론 정부의 정책과 국제적인 공조가 절실히 요구된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ㆍ안전을 보호해야 할 정부와 지방자치는 인류학자들의 환경파괴에 따른 인류 생존 문제의 경고에 대하여 어떤 정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우리의 생활과 인식이 어느 정도인가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우리의 생활을 보면, 대량생산 대량소비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편리성과 사치성의 추구로 1회용품 사용 급증과 과다한 포장지 사용, 썩지 않은 비닐과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 및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전지 사용 등으로 쓰레기 문제가 인류 생존을 위협하고 있음을 얼마나 인식하고 실천하는가를 자신부터 되돌아봐야 한다. 

기후환경전문가들은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선 친환경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에너지 대전환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윤석열 정부는 그 반대로 오로지 친원전과 원전 강화에 올인하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은 오히려 줄이는 시대착오적 정책을 펼치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환경운동은 자연환경의 보호, 유해 물질의 사용금지, 탄소 중립과 생태계의 보전 및 정책의 실현 등을 목표로 공공정책과 개인행동의 변화를 통해 자원의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환경관리를 옹호하고 인류가 생태계의 적이 아닌 참여자임을 인식하는 생태학ㆍ건강ㆍ인권에 중심을 두고 있다.

너나없이 우리의 삶과 직결되는 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하나하나 실천해 나가도록 명심해야 한다. 우리는 마치 서서히 데워지는 냄비 안의 개구리처럼 설마 또 설마하다 죽고 마는 개구리 신세가 안 된다고 그 누가 보장할 수 있겠는가! 

이제 기후 참사 기후재앙의 시간이 코앞이다. 아주 생소하고 엉뚱하던 대멸종이란 위기가 남의 일 같지 않다. 어쩌면 우리가 사는 바로 이 시간이 무려 6500만년 전에 공룡소멸과 더불어 이루어진 5차 대멸종 이후 6차 대멸종의 시간들인지 모른다. 이미 꿀벌의 개체수는 절반 이하로 줄었다고 한다.

환경운동으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앨 고어는 지구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이야기하면서도 우리는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우린 기술과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유일하게 부족한 것은 정치적인 의지라고 하면서 각국 정부의 정책과 법·조약을 바꿔 올바른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국민의 남북 대치에 따른 전쟁의 불감증에다 기후 환경에 대한 불감증이 안타깝다. 지금 이대로 가면 파국과 공멸이 반드시 더 빨리 오게 돼 있음을 깨닫고 국민의 각성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으로 극복해야 되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