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군은 ‘문학관광기행특구’로 지칭되고 있다. 2008년에 지정된 이 특구의 개념은 한 지역이 특산물이 아닌 ‘문학’의 정체성을 특구화하여 대내외적으로 선양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그만큼 장흥의 문학은 정연하고 당당한 문맥이 이어지고 있으며 문학자원 또한 그 질량의 풍성함이 여타의 지역에 우선 하고 있다. 그래서 장흥의 문학, 문학사, 문학자원은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역으로 회자되고 있다.
이렇듯 차별성 있는 장흥의 문학 그 문맥의 시원을 논할 때는 어김없이 ‘장흥의 가사문학’과 이어서 기봉 백광홍의 관서별곡이 등장한다. 국문학사에서 ‘기행서경가사’의 효시로 일컬어 지는 기봉의 관서별곡은 장흥 문학의 자긍심이다.
이러한 기봉의 문학적 업적은 2004년 문화관광부에서 6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하여 일련의 연구 작업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기봉백광홍선생기념사업회’를 창립하여 지속적으로 기봉의 문학을 선양하고 연구하는 단체로 활동을 하여 왔다.
‘기념사업회’에서는 기봉집 국역 및 출판 기봉의 연구, 학술 자료 간행, 기봉 문학의 상징 조형물 제작 설치, 전국 대상가사문학작품공모 및 시상 학생 백일장, 가사문학 현장 문학기행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여 왔다.
2020년의 사업으로는 장흥 지역에서 가장 전통이 있고 유료 구독자가 많은 주간신문인 장흥신문과 연계하여 “장흥의 가사문학 다시 읽기-기봉 문학을 중심으로”라는 테마로  지면을 할애 받아 연재할 계획이다.
이 사업으로 장흥군민과 문학관광기행특구 장흥에 관심있는 독지와 문학도들에게 장흥의 문학사와 가사문학 기봉 백광홍의 문학적 업적을 ‘다시 읽는’ 계기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업은 기념사업회의 자부담과 장흥군의 지원으로 진행된다.◀◀◀

오언사운(五言四韻)Ⅱ 

●사미가 부쳐온 시에 수답하다(2수)
酬四美見寄
1
진작에 문단에서 함께 했더니              早忝論文地
돌아와 기댐 또한 갈리었구나.             依歸亦解方
아성(亞聖)의 말씀 들음 어기지 않고     不違聞亞聖
전왕(前王)을 사모함을 기뻐하였지.      於輯慕前王
풍진 세월 떠돈 지도 하마 오랜데        漂泊風塵久
변방 관문 오래도록 내달린다네.          駈馳關塞長
이를 따라 근심과 병 몰려들어서         自從愁病集
온갖 일 모두다 귀찮키만 해.              百事摠相妨

2
어버이 그린 생각 만리 밖인데            思親猶萬里
게다가 병마저 몸에 얽혔네.               復病病沉綿
장마비 부뚜막엔 개구리 나고             積雨蛙生竈
빈 침상 모포 위엔 곰팡이 핀다.          空床綠上氈
구름 하늘 오랑캐 눈 근심하면서         雲天愁狄眼
세월은 구르듯이 쉬 흘러가네.            歲月易馮顚
근고에 한가히 지내는 그대                近古閒居子
이따금 ‘벌목편(伐木篇)’을 보내오누나. 時傳伐木篇

●병을 얻어 완계(浣溪)를 지나며 옛날을 얘기하다가 느낌이 있어, 소매 속에 있던 사미가 부쳐온 시 두 수에 보운(步韻)하고, 남쪽으로 가는 사미와 작별하다.
病得浣溪枉過談舊有感仍步所袖寄四美韻二首兼別四美南行
1
분성(盆城) 사는 그대에게 감사하노니      多謝盆城子
자주 와 병든 마음 만져 주었지.             頻來慰病唫
삼사당(三事堂)의 평상을 기억하노니      憶曾三事榻
-시산에 삼사당이 있다. [詩山有三事堂]
일재(一齋)선생 거문고를 듣곤 했었지.    時聽一齋琴
어느덧 기쁨 슬픔 자리 바꾸고              忽忽悲歡轉
유유히 세월만 아마득해라.                  悠悠歲月深
간직해 둔 한 말 술이 있지 않아서         惜無藏斗釀
함께 마셔 답답함 못 품이 애석하여라.    消鬱伴君斟
-“소(消)”는 “초(悄)”로도 쓴다. [消一作悄]
 
2
남쪽 고개 넘어 가는 그대 부러워          羡君南嶺去
흥취는 백화(白華)의 노래에 있네.          興在白華唫
가을 빛 서리 맞은 벼 위에 밝고            秋色明霜稻
시냇물 거문고 소리 뒤섞이누나.           溪聲雜玉琴
나그네 오랜 병 안쓰러운데                 客遊憐病久
고향 꿈 깨고 나면 근심만 깊어.            鄕夢覺愁深
시산관의 일일랑은 말씀 마시게            莫道詩山舘
마음 술잔 밤마다 함께 하세나.             心盃夜共斟

●앞의 운자를 써서 사미에게 부치다
用前韻寄四美
사미당(四美堂)의 늙은이 홀로 그리니    獨憐四美老
맑은 계절 오히려 괴롭게 읊네.             時淸猶苦唫
소상팔경 여덟 폭 그림에다가               湘江八疊畵
뒷골목엔 하나의 거문고라네.               陋巷一張琴
동작 나루 바람 안개 저물어가고           銅雀風烟晩
아차산 나무 숲은 깊기도 해라.             峨嵯樹木深
병 깊어 도리어 왕래 끊기니                病沉還枉絶
근심 겨워 술도 능히 못 따른다네.         愁思未能斟

●송담을 생각하며
思松潭
송담 사는 사람 얘기 내 들었나니          我聞松潭人
집 한 채 구름 바위 둘려있다지.            一室繞雲石
지리산의 기이함을 시에다 담고            詩拾頭流奇
순강의 푸르름을 술 빚는다네.              釀汲鶉江碧
삼황(三黃)의 매화를 보지 못하니          不見三黃梅
사람 일 구슬픔 배나 되누나.               人事倍悰戚
그대 인해 긴 회포 부쳐 보내니            因君寄長懷
물가에서 향초를 건져 올리리.             澗渚搴芳若

●연주정의 저물녘 술자리에서 사밀의 시를 차운하다.
  -정자는 능성에 있다
連珠亭晩酌次士密韻[亭在綾城]
강가 정자 저녁 빛은 깨끗도 한데         江亭晩色凈
강 나무엔 대나무 숲 섞이어 있네.        江樹雜脩篁
아득한 들 흰구름은 깔리어 있고          野逈雲鋪白
빈 난간에 빗방울이 선듯하구나.          欄虛雨納凉
향기로움 향초와 다름이 없고              薰馨同蕙茝
무성한 풀 난새 봉새 보는 듯 해라.       萋菶見鸞鳳
크게 취해 그제야 헤어지는데             大醉還分手
가을산은 더더욱 아스라 하다.             秋山更渺茫

●월명암을 바라보며
  朢月明菴
깎은 벼랑 텅 빈 경계 뛰어넘어서         絶磴超虛界
아슬한 난간 푸른 하늘 높이 솟았네.     危欄出碧霄
바람 우레 언제나 숙여서 듣고            風雷常俯聽
구름 비는 반공에서 사라진다네.          雲雨半空消
깊은 밤 달 아씨는 춤을 추는데           逈夜月娥舞
맑은 가을 왕자교(王子喬)는 퉁소를 분다.  淸秋王子簫
언제나 흰 봉황을 잡아 타고서            何時駕白鳳
패옥 던져 가지 끝에 걸어 보려나.       捐珮掛林梢

●석천의 운을 써서 이군신에게 주다
用石川韻贈李君信
가을 바람 가는 옷깃 불어가는데         秋風吹去袂
나그네 길 부여에서 시작되누나.         客路自扶餘
백마강 찬 물결 여태 푸르고              白馬寒波綠
구름 누대 묵은 나무 성글기만 해.       雲臺古木踈
집도 없이 옛나라를 찾아나서다         無家尋舊國
흥이 일어 그대 집을 찾아 보았네.       有興訪君廬
밤나무 감나무 동산서 술잔 나누니      柿栗原頭酌
왕희지의 산음 땅도 이만 못하리.        山陰亦未如

●중장과 헤어지며 주다
贈別仲章
서쪽 시내 얼음 눈이 깨끗도 하며         西溪氷雪凈
사흘 밤을 함께 지냄 너무도 좋아.        三夜好同襟
혜초(蕙草) 심은 밭두둑에 향기가 맑고   蕙  薰薰臭
오동나무 언덕에선 해맑은 소리.          梧岡噦噦音
그대 소식 예전부터 알았었지만           風期知在昔
왕래함은 이제부터 시작이로다.           來往可從今
모산(茅山)길서 눈물을 글썽이노니       凝睇茅山路
무성한 대숲만 짙푸르구나.                靑靑萬竹林

●병부교
兵部橋
옛 나라 산하는 여태도 남아              舊國山河在
나그네 길 위에서 마음 상한다.          傷心客路中
못과 누대 황량한 풀 덮히어 있고       池臺荒草合
노래 소리 안개 허공 끊기었구나.       歌管斷烟空
천 잔의 술을 마셔 크게 취하여         大醉千盃酒
피리 소리 바람 속에 외로이 읊네.      孤唫一篴風
고향 땅 어느새 아득하여라              鄕關已迢遞
제비와 기러기의 소식을 묻네.           消息問燕鴻

●정숙의 시에 차운하다
次正叔韻
길게 읊조려도 안 될 것 없네             長唫無不可
하늘 땅 한 사람의 서생이로다.          天地一書生
새로 만난 얼굴 따라 기쁨이 오고       喜逐新逢面
오래 사귄 정을 좇아 즐거움 도네.       懽從舊識情
풍류는 매화 □□□ 한데,                 風流梅□□
□□한 술동이는 향기롭구나.            □□酒尊馨
술 취해도 마음은 말짱하기만           到醉心還醒
그대 시는 편편이 주옥이로세.           君詩箇箇瓊

▲기양사 경내의 비림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