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양공원의 가사문학 비림

▶▶▶장흥군은 ‘문학관광기행특구’로 지칭되고 있다. 2008년에 지정된 이 특구의 개념은 한 지역이 특산물이 아닌 ‘문학’의 정체성을 특구화하여 대내외적으로 선양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그만큼 장흥의 문학은 정연하고 당당한 문맥이 이어지고 있으며 문학자원 또한 그 질량의 풍성함이 여타의 지역에 우선 하고 있다. 그래서 장흥의 문학, 문학사, 문학자원은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역으로 회자되고 있다.
이렇듯 차별성 있는 장흥의 문학 그 문맥의 시원을 논할 때는 어김없이 ‘장흥의 가사문학’과 이어서 기봉 백광홍의 관서별곡이 등장한다. 국문학사에서 ‘기행서경가사’의 효시로 일컬어 지는 기봉의 관서별곡은 장흥 문학의 자긍심이다.
이러한 기봉의 문학적 업적은 2004년 문화관광부에서 6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하여 일련의 연구 작업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기봉백광홍선생기념사업회’를 창립하여 지속적으로 기봉의 문학을 선양하고 연구하는 단체로 활동을 하여 왔다.
‘기념사업회’에서는 기봉집 국역 및 출판 기봉의 연구, 학술 자료 간행, 기봉 문학의 상징 조형물 제작 설치, 전국 대상가사문학작품공모 및 시상 학생 백일장, 가사문학 현장 문학기행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여 왔다.
2020년의 사업으로는 장흥 지역에서 가장 전통이 있고 유료 구독자가 많은 주간신문인 장흥신문과 연계하여 “장흥의 가사문학 다시 읽기-기봉 문학을 중심으로”라는 테마로  지면을 할애 받아 연재할 계획이다.
이 사업으로 장흥군민과 문학관광기행특구 장흥에 관심있는 독지와 문학도들에게 장흥의 문학사와 가사문학 기봉 백광홍의 문학적 업적을 ‘다시 읽는’ 계기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업은 기념사업회의 자부담과 장흥군의 지원으로 진행된다.◀◀◀

칠언절구(七言絶句)Ⅱ

●생양관에서 김언희를 만나 취해 얘기하다 한밤
중에 피리 소리를 듣고(2수)
1
삼경이라 피리 소리 변방에 근심 겨워
短笛三更愁出塞
외론 등불 먼 나그네 홀로 시를 읊노라. 
孤燈遠客獨吟詩
사람더러 동헌의 달 부러워 하게 하니
令人却羡東軒月
‘매화제일지’ 한 가락을 취해서 부는고나. 
醉弄梅花第一枝

2
우리 모두 관하 땅 만리 길 나그네 몸 
俱是關河萬里身
생양관(生陽館)
안에서 또 봄을 맞았고야.
生陽舘裏又逢春
그 누가 슬픈 피리 삼경에 놀래키나 
誰將怨笛驚三夜
매화가 다 지도록 사람은 뵈지 않네. 
落盡梅花未見人

●임경대
臨鏡臺
보잘 것 없는 이 몸 동과 서로 떠돌다가 
東西漂泊我支離
이 한 때에 변방 밖서 함께 와 노닐다니. 
塞外同遊此一時
임경대 앞 다시금 아쉽게 이별하니 
臨鏡臺前還惜別
봄 바람 이월이라 버들가지 실 같구나. 
春風二月柳如絲

●안주에서 서울 가는 길을 전별하며
餞赴京之行于安州
청천강 위에는 버들가지 푸르니 
晴川江上綠楊枝
봄바람에 나그네 근심 겨운 때로구나. 
政是東風惱客時
가소롭다 능라도의 어어쁜 꾀꼬리 말
可笑綾羅鸎語巧
저물녘 하늘하늘 가만있지 못하네.
斜陽裊裊不勝垂

●가애를 대신해서 군옥에게 부치다
代可愛寄君沃
약산은 예로부터 풍류스런 땅이거니 
藥山從古風流地
어사의 바쁜 일정 또한 머물렀었지. 
御史嚴程亦滯行
청천강 건너가면 소식도 끊기리니 
一渡晴川消息斷
너무도 무정하다 그때엔 말 못했지. 
當時不道太無情

●자수를 골려주다
調子修
철옹성에 있는 사람 모두다 나그네라 
鐵瓮城中摠客遊
산을 찾아 잠시 동안 떠돌이 근심 위로하네.
尋山暫欲慰羈愁
절집 술에 그대가 먼저 취함 애처롭네 
憐君先醉禪房酒
흰 바위 물가에 함께 가서 못 읊으니. 
未共行吟白石洲

●산을 나와 희천 가는 도중에 읊조리다
出山向熙川途中口號
서쪽 땅 와 날마다 고향 생각 뿐이러니 
西來無日不思鄕
남국의 강과 호수 꿈 속에 아득하다. 
南國江湖夢裏長
한 봄 내내 꽃 달 약속 헛되이 저버리매 
辜負一春花月約
어느 때나 돌아가 초록 그늘 누워보나. 
何時歸臥綠陰凉

●희천 남헌에 쓰다
  -박계현의 집이다. 
題熙川南軒[朴啓賢居]
가파른 강 길 따라 희천 땅에 들어서니 
崎嶇江路入熙川
나그네 베게 맡에 바람이 배꽃 턴다.  
風擺梨花客枕邊
앉아서 향로봉의 진면목과 마주하니
坐對香爐眞面目
여태 올라 보지 못함 비웃는 듯 하여라. 
似應嘲我未窮顚

●사선봉을 보고 말을 세우고
見四仙立馬
봉래산 제일봉을 어저께 내려오니 
昨下蓬萊第一峯
상투 끝엔 여태도 초록 구름 남은 듯.
輕鬟猶帶綠雲容쌍쌍이 배꽃 아래 말을 세워 보노라니 
雙雙立馬梨花下
눈 녹아 붉은 깁이 옥총마(玉驄馬)에 어지럽다.


●진서루에서 조군옥에게 주다
鎭西樓贈趙君玉
높은 누각 올라보니 병든 눈이 환한데 
一上高樓病眼明
늦은 산에 날리는 비 숲 저편서 우는구나. 
晩山飛雨隔林鳴
나른히 붉은 소매 쌍쌍 추는 춤 보자니 
懶看紅袖雙雙舞
반평생 나그네 맘 철옹성을 둘렀네. 
半世羈懷鐵瓮城

●패강 배 위에서 김언희, 정노경과 헤어지며 
浿江舟中別金彦喜鄭魯卿
청산은 그림 같고 물은 하늘 맞닿아 
靑山如畵水連天
이별 잔을 취해 잡자 생각만 하릴없다.
醉把離盃思黯然
중추절 달 밝은 밤 만날 약속 다시 하고 
更約仲秋明月夜
연광정 내려가서 다락 배를 띄우노라. 
鍊光亭下泛樓船

●기양에서 북막으로 근행(覲行) 가는 최가운을 전송하며
  -이름은 경창, 호가 고죽이다 
岐陽送崔嘉運覲北幕[名慶昌 號孤竹]
자네는 북녘으로 나는 장차 서편으로 
君行將北我將西
천리라 갈바람에 이별 한만 어지럽다. 
千里秋風別恨迷
강남 땅 사흘 밤 꿈 이을 수만 있다면 
會續江南三夜夢
향로봉 학을 타고 흰 구름 속 깃들이리. 
香爐伴鶴白雲捿

●외로운 밤
獨夜
철옹성 높고 높다 산 해도 어둑하니 
鐵瓮城高山日昏
어버이 그린 병든 객은 다시 마음 상하네. 
思親病客重傷魂
변방 아이 피리소리 바람은 불다 말다 
天風吹斷羌兒笛
지는 잎 우수수 문을 가득 막는다. 
落木蕭蕭滿塞門

●임경대에서 날이 늦게 개이길래 김직경과 조군옥에게 주다.
臨鏡臺晩晴贈金直卿趙君玉
산 구름 잠깐 걷혀 묏부리 끝 드러나니 
山雲乍捲露危岑
다락의 해 새로 개어 저녁 그늘 상쾌해라. 
樓日新晴爽夕陰
타향이니 술잔 잡아 마음껏 취하세나 
把酒異鄕須盡醉
철옹성 깊은 곳엔 남녘 소식 못 오리니. 
南音不到鐵關深                              /국역: 정민(한양대 국문과교수)  /정리,편집=昊潭

▲위백규의 권학가-가사문학비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