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장흥군도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초 고령사회가 되었다. 이를 위한 근본적 해결책의 하나로 장흥의 읍내지역에 다문화 거리를 조성하면 동남아 관광객의 유입 및 다문화 지역민들의 현대화 삶의 터전이 되어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것이 분명하다. 동남아 곳곳에 산재한 화교의 거리를 알고 경험해 보면 그 답이 나온다.

아무런 정책적 행정적 지원과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도 우리지역의 다문화는 인구와 출산문제를 어렵게 받쳐주며 유지해주고 있는 것을 볼 때, 다문화의 유용성은 행정적 지원에 따라 급속도로 발전하리라 본다. 우리 주변의 폐교는 희망 없는 농어촌의 현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젊은 층의 비 출산문제도 있지만 농어촌으로 돌아오는 젊은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지역 공교육의 장이 무너지면 사회 문화 경제 등 모든 분야가 도태되면서 지자체 자체가 붕괴될 것은 엄연한 현실이며 가까운 미래다.

이제 우리는 그 간의 시대착오적인  사고를 과감히 청산하고 죽어가는 농어촌을 살리는 대안은 다문화가 출발점이라는 군민의 인식이 시급히 정착되어야 한다. 우리 땅에서 피땀 흘리며 우리의 자손을 양육하고 부모를 모시는 효심과 집안경제 활성화를 하고 있는 현실을 볼 때 이는 누구도 할 수 없는 우리 가족으로서 사명감을 가졌기 때문이다. 우리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족은 약 500여 세대로 1000여 명 정도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지역의 다문화는 지역을 회생시키는 원동력이며 고마운 자산이기에 지자체가 적극적 지원과 관리를 하여야만 한다.

전국적 다문화 관광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첫째, 다문화 거리를 조성해야 한다. 장흥 두 곳의 읍내 지역을 살펴보면 상권이 죽고 공동화가 된 지역이 있어 지자체에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정한 방안이 없이 그저 땜질식 행정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곳을 다문화 거리로 지정하는 과감한 행정적 투자가 필요하다. 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경제가 죽어가는 현실을 감안할 때  중앙정부도 다문화거리 필요성을 도외시 하지는 않다는 분위기다. 무엇보다도 우리지역이 선점을 하여야 한다.

둘째, 공립 다문화 학교를 개설하여야 한다. 다문화 가장의 한국 교육을 위한 3년 과정의 학교를 개강하여 한국어 및 한국 문화교육을 이수하도록 하는 정규과정이어야 한다. 이 과정을 수료하는 동안 교육에 전념하도록 생계비를 지원하여 주어야 한다. 그동안 각종 기관 또는 행정청이 다문화의 교육을 하여왔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생계비 걱정을 하는 서민적 생활에서 잦은 교육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더욱 가중 되었다. 이제는 다문화 부모 특히 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및 각종 한국 문화 습득이 가정과 자녀교육과 국가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인식하여야 한다. 다문화의 중요성과 고마움에 대하여는 국가나 지자체가 행정적 지원으로 보답하여야 한다.

셋째, 다문화 거리에 적용할 다문화 사회적 경제를 육성하여야 한다. 마을기업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을 사회적경제라 하는데, 특별히 다문화 공동체를 위한 사회적경제가 동시에 활성화 되어야 한다. 장흥지역의 다문화 가족이 연계한 다문화 경제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도 조성되어야 한다. 다문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문화 사회적 경제 상품들이 전국 또는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경제 활성화가 되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 지원과 행정적 서비스가 있다면 가능한 일이다. 장흥군 읍지역의 공동화된 지역에 다문화 거리가 조성되고 다문화 공동체가 운영하는 사회적경제들이 활동을 하게 되면, 이는 국제적 관광 상품으로 각광을 받게 된다.

세계 도처에 경제적 강자로 자리 잡은 화교의 거리와 네트워크를 바라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 이제 우리나라도 이에 대응할 경제적 조직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바로 다문화 거리와 다문화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회적경제가 담당하게 되리라 본다.

결론적으로 노령화되고 감소하는 인구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기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다문화 정책이 수립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장흥군은 미래의 경제적 자산인 다문화 타운을 건립할 계획이 있어야하며, 그 이전에 다문화거리를 먼저 조성하여야 한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공동화 되어가는 구 시가지와 폐교를 이용한 우리지역 다문화의 경제적 거점으로 제공해 다문화인들의 페이퍼 컴퍼니를 유치하고 신규 공단 등을 생산단지로 제공하는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도 수립해야 한다.

전국에 뿌리내린 다문화를 우리지역에서 먼저 총합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발 빠른 행정이 필요하다. 다문화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된 우리 장흥지역으로 전국의 다문화  가족들이 모여드는 인구증가의 효과도 클 것으로 본다. 이것은 대한민국 농어촌이 회생하는 지름길이며 향후 중국의 세계화 전략에 대응하는 현명한 다문화 정책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