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들의 미래가 불투명 하다.
지난 8월17일자 본지의 1면에 비중 있게 보도된 “장흥군 소멸 위기”의 기사처럼 근간에 이르러 여러 분야에서 농어촌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경고의 징후들이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경고를 극복 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들은 백가쟁명의 처방을 내어 놓고 있지마는 그 효과는 미지수이다.  6,4 지방동시선거에 입지한 후보자들의 선거 공보에는 어김 없이 인구 증가를 유도 하는 갖가지 공약을 제시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벽에 부딪치고 ‘솔로몬의 재판’같은 묘책은 실현이 어렵다는 사실을 절감하게 된다.

출산율은 저하되고 생업의 기반이 취약한 농어촌에 유입 가능한 인구는 한정되어 있는 작금의 사정을 타개하여 소멸의 경고를 탈출 할 수 있는 정책은 우리 모두의 갈급한 화두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마다의 개성과 장점을 홍보하고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지역 축제’를 개최한다. 하여 지역마다 많게는 10여개에서 부터 작게는 4-5개의 축제를 선보이며 볼거리, 놀거리, 먹거리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지역을 어필하고 있다.
실제로 유명세와 인기가 있는 지역 축제에는 많은 관광객이 찾아 오고 있다.

우리 장흥군의 2018년 물축제에도 48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하였다는 보도를 접한적이 있다. 래방 관광객을 집계하는 방식이 어떤  통계의 기법에 근거하였는지는 모르지만 물축제 7일 동안 매일 7만여명이 운집하였다면 축제의 현장을 마비되었을 것이고 숙박 식당 업소는 엄청난 매출을 기록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체감되는 경기는 기대 이하였고 흔히 비유되는 잠재적 경기 활성화의 지표도 썩 긍정적이지는 않은 것 같아 보인다.
어떻든  50여만명에 육박하는 관광객이 다녀간 축제의 뒷 끝 그 효과를 우리 장흥군의 미래에 희망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를 접을 수는 없을 것이다.

축제를 비유하여 진단한다면 그간의 많은 정책들이 어쩌면 ‘산토끼’를 향한 내용이었다면 이제는 ‘집토끼’의  삶의 현장을 진단하여 떠나지 못하고 장흥을 지키며 사는 계층과 직군들에 대한 배려와 지원이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제안을 해 본다.
장흥의 마을이 죽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장흥군의 일부 읍 단위 정주권을 제외하고서는 마을마다 빈 집이 늘어나서 폐가가 되어 가고 있고, 외지인 소유의 유휴 토지들은 그 활용도 계발도  제약을 받고 있다. 거주하는 계층들의 노령화는 가속화 되고 있으며 생산성은 급속히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 내일의 문제가 아니었다. 장흥군 당국에서도 직시하는 현안이었고 다양한 정책들이 입안되고 실천되었을 것이다.
이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살거리’의 환경에 집중하는 정책 계발과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하여‘살고 싶은 장흥’‘살기 좋은 장흥’‘살아 보고 싶은 장흥’으로의 환경을 구축하여 드디어는 ‘장흥에 가서 살고 싶다’ 라는 이미지를  선점 한다면 어떨까.

마을의 빈 집들 중 리모델링이 가능한 집을 개축하여 독거노인과 귀농 귀촌인들에게 장기 임대 하고. 유휴 토지를 계발하여 마을 공동 텃밭과 쌈지공원 주차장으로 활용 하자.
고령자와 복지 대상자들의 거주 공간을  증개축하여 그 자녀들과 지인들이  합류하여 살고 싶어지는 환경을 조성해 보자. 빈 집 오래 방치된 유휴 토지들의 지역 계발권은 아마도 법률적인 근거가 있을 것이다.

출산과 육아의 지원과 혜택이 빵빵한 장흥, 가정 의료의 시스템이 원활하여 노후의 삶이 원만한  장흥, 다문화 가정의 생존과 문화의 이질감 극복이 가능한 장흥, 문화의 향유와 심신 힐링의 소재가 풍성한 장흥, 최소한의 생계가 보장 되고 여유와 낭만이 있는 장흥, 위와 같은 바람이 정책으로 연결되고 현실화 되는 과정이 그리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근간 정부의 대규모 도시재생사업 뉴딜 지역 선정의 정책이 주목받고 있는 시점에 장흥의 마을들을 살리는 ‘마을 재생 사업’의 추진은 집토끼부터 품에 안고 산토끼도 끌어 드리는 효과를 창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세부적인 사안들은 군청 당국의 과제이다.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