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제력이 크게 성장했지만 삶의 질은 그만큼 따라가지 못했다고 한다.
무엇보다 가족·공동체가 무너지고 주거와 건강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15일 통계청과 '한국 삶의 질 학회'가 공동으로 발표한 '국민 삶의 질 종 가족·공동체 영역 지수는 2006년에 비해 오히려 1.4% 감소했다. 가족·공동체(-1.4%), 고용·임금(3.2%), 주거(5.2%), 건강(7.2%) 영역은 전체 종합지수(11.8%)보다 증가율이 낮다. 가족 공동체가 무너지면서 우리나라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9.1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중 1위다. 결국 공동체란 울타리가 무너지고, 열악한 고용과 임금 탓에 주거와 건강 등 기본권이 위협받는 상황이다. 양적으로는 성장한 것처럼 보이지만 질적 성장은 오히려 후퇴했고, 우리의 잠재 성장동력이 약화되면서 삶은 더 팍팍해진 것이다.

실제로 갈수록 우리의 삶이 어려워지고 있음이 반증하는 것이다. 농어촌의 경우, 작금의 현실은 더욱 농촌사람들을 우울하게 하고 있다. 실제로 농촌, 농업 위상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물론 이는 문화적·환경적 가치 등을 지닌 농업을 그저 하나의 ‘산업’으로만 본 데서 비롯된다.

농업, 농촌의 위기는 다름 아니게 갈수록 농촌인구가 줄고 있다는 데서 비롯된다.
농촌에서의 농업인의 농업 외의 다면적 활동은 가족농이 빈곤선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기회이자 농가의 중요한 살림살이 전략이다. 즉 농촌에서도 일자리는 그만큼 중요하다는 말이다. 농촌 인구가 지역에서 덜 빠져나가도록 자가영농 외에 취업이든 자영이든 일자리를 제공하는 정책이 우리 농업을 보호하는 길이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농산물시장 개방으로 농업소득이 줄어든 것도 있지만, 농촌 인구가 빠져나가면서 비농업부문 일자리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농외소득 일자리가 감소한 탓도 크다고 지적한다.

농업은 자연을 관리하는 활동인데, 휴경 농지가 많아지고 잡초가 자라는 농촌은 농촌 모습을 잃어간다는 것이다. 농촌이 도시에서 해결되지 않는 실업이나 경제적 어려움의 출구 역할을 할 수 있으려면 농촌이 그 모양새를 유지해야 하고, 그러려면 일자리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인 것이다.

다면적 활동은 ‘농업정책’에서는 농가소득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소득원이고, 동시에 ‘농촌정책’ 측면에서는 인구가 줄어들면서 지속 가능성 위기에 직면한 농촌지역사회를 인구학적으로 유지하는 성격을 띤다. 농민층이 소멸되지 않게 하고 가족농이 탈농할 확률을 줄이면서 농업·농촌을 유지하는 새로운 동력인 것이다.
지자체의 농업인의 다면적 활동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