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최선의 살림살이는 재정에 따라 운용하는 것일 게다.
계획도 재정 상태를 봐가며 세워야 온당한 일이다. 자기 재정을 무시하고 계획을 세우거나 일을 저지르면 결국 수익을 남기더라도 빚잔치로 막을 내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장의 첫 번째 할 일은 제 지자체의 재정 상태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나아가 재정상태, 재정확보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설혹 공약사업을 시행하려 해도 재정이 미치지 못하면 공약 이행을 순연시키거나 시행 불가피성을 알려 지자체주민의 의구심을 없애줘야 한다.

물론 빚 얻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할 수는 있다. 그런데 우리사회 특히 농촌사회는 갈수록 노령사회로 깊어져가고 출산율은 더욱 낮아지고 늘어나는 것은 실업자요 노인들뿐이니 빚 얻어 사업을 한들 그 많은 빚을 언제 누가 갚을 것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빚을 진다는 건 미래를 당겨쓰는 일에 다름 아니다
미래는 미래 사람들의 몫이다. 그런데 그 미래를 당겨 써 버리면 후인들에게 죄를 짓는 일이 아니겠는가.
빚이 많다. 이 경우 예산을 이자 갚는데 쓰고 하여 부족한 예산을 빚내서 메꾸고 하는, 이른바 ‘돌려막기 ’식이어서 지자체 채무는 지자체 운영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우리나라 지자체의 경우 서울 강남3구만 빼고는 재정 자립도가 전부 미달된 상태라고 한다. 그러니 부족한 재원으로 지자체를 운용하다보니, 빚에 얹힌 지자체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민선 지자체장의 경우, 세수 확대방안도 없이 공약은 지켜야겠고, 차기 재선도 생각해야하고, 하여 재정이 파탄이 나더라도 제 임기만 마치면 그만이라는 무책임한 생각으로 빚얻어 공사하고 건물 짓고 복지의 이름으로 나눠주기에 급급하고..대부분 이렇게 지자체를 운용하기 마련이다.

빚을 없애는 채무상환 운용은, 공무원들의 국내 여비나 일반 운영비에서의 절감하고 긴축예산 편성 등으로 운영될 수밖에 없어 결국 방만 경영이 아닌 뼈를 깎는 각오와 의지의 실천으로 이루어낼 수 있는 일이다.
장흥군의 현재 채무는 19억원. 올해 안으로 그 빚을 모두 갚는다고 한다.
하여 2017년에는 ‘채무 제로 원년’으로 시작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채무 없는 장흥군정은 분명 달라질 수밖에 없다, 우선은 중앙정부로터 점수를 따고 믿음을 주게 되면서 국비지원 등 교부금 확보에 희망적이다

또 예산에서 이자금이 나갈 리 없으니, 맞춤형 주민복지 등 실질적으로 군민들의 삶의 질 향상의 사업들에 더 신경을 쓸 수 있을 게다. 무엇보다 군민에게 주는 자긍심이 커 큰 의미를 가지면서 국민들의 군정 협조와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다.
즉 ‘총화력’을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래저래 희망적이다.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