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년 전 어디선가 사진작가 마동욱에 대해 나는 다음과 같이 밝힌 적이 있다.

“나는 마동욱을 보며 돈키호테를 떠 울린다. …그의 기사도 정신의 광기와 몽상은 그로 하여금 늘 동떨어진 현실세계에서 비통한 실패와 패배를 맛보게 한다. 그러나 그런 가혹한 패배를 격어도 그의 용기와 고귀한 의지는 조금도 꺾이지 않는다.

마동욱이 전적으로 돈키호테를 닮았다는 것은 아니다. 돈키호테는 현실을 무시한 이상가였지만 마동욱은 이상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긴 해도 결코 공상주의가나 비현실적인 몽상가는 아니다. 그럼에도 나는 그를 보며 가끔씩 돈키호테를 떠올린다.

마동욱의 성격도 무모하리만큼 곧고 사고도 곧다. 언행도 투명하다. 자기 일에 대한 애정과 집념이 강하다. 때로 지나칠 만큼 순수하고 이상주의적이며 비현실적이다. …그 스스로가 얼마나 많은 좌절을, 자기 일과 소신에 대해 얼마나 많은 회의를 경험했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나는 현실이 주는 가혹한 좌절, 늘 죄업처럼 짊어진 궁핍이라는 무게를 끝까지 버티며 결코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는 것을 잘 안다. 마치 자기의 몽상적인 이상이 현실에 부딪쳐 처절한 실패를 겪어도 결코 뜻을 굽히지 않았던 돈키호테처럼… 그의 삶에서 트릭은 없다 누구에게도 마지막 카드를 감추지도 않는다. 그와 통하는 사람에게는 제 속내를 알알이 보여준다. 보통 사람에게선 볼 수 없는 일이다….”

이는 기자가 마동욱을 10여년 남짓 그의 성격과 일(사진작업)을 지켜보며 느꼈던 것을 가감없이 표현한 것의 일부분이다. 이로부터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그에 대한 내 표현은 유효하다. 지금도 여전히 마동욱은 내게 돈키호테적이다.

예나 지금이나 그는 변하지 않았다. 여전히 30여 년 전의 그 소신으로 오늘도 자기 사진 작업에 매달리고 있을 뿐이다. 그는 자기 사진에서 팩트만을 고집한다. 트릭을 용납하지 않는 팩트 사진만을 고집하는 것은 트릭이 없는 그의 삶과도 상통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는 여전히 자기 일에 대한 확고한 자부와 긍지로서 현실의 수난을 이겨낸다는 것이다. 그 팩트 사진에서 나름의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내려고 부단히 노력하는 것은 일종의 현실 도피적인 것인지도 모른다. 하여 기자의 눈에 비치는 마동욱은 여전히 돈키호테적이다.

사진가는 존재물의 정지된 현상을 사진으로 담는다. 사진작가는 이러한 작업에서 어떤 의미를 전해주는 그림처럼 아름다움이나 독특한 의미를 표출하여 작품사진으로 만들어내기도 한다.
마동욱은 다큐 사진작가이다. 그는 사진의 미적·예술적 가치를 추구하며 이른바 작품 사진을 만들어내는 사진작가는 아니다. 사진의 대상체가 되는 물상의 사실상의 정수를 표현해 내는 다큐메타리 사진작가인 것이다.

물상의 본질에 대한 직관적인 관찰을 중시하는 다큐 사진가인 마동욱은 자신의 다큐 사진 정신에 아주 충실하다. 그의 사진은 스트레스 사진의 정수를 보여준다. 단 한 사진도 연출이나 트릭이 없다. ‘있는 그대로’의 물상에 대한 직관과 정확한 묘사만 있을 뿐이다.

마동욱은 일년 365일 하루도 걸리지 않고 고향 장흥 곳곳을 돌아다니며 산이며 강이며 바다며 마을이며 사람들을 이른바 ‘장흥’을 카메라에 담는다. 그 세월이 29년이다. 한두 번, 아니 몇십 번도 찍었으니 지나칠 만도 하지만 마동욱은 어제도 그제도, 아니 수백 번도 찍었을 그 풍물을 다시 카메라에 담는다. 그에게 모든 물상은 매순간 변화되고 달라진다.

마동욱에게 사진의 주체가 되는 그 어떤 대상체도 고정적인 존재는 없다. 늘 달라지고 늘 새롭다. 그리고 사진은 기록이고 진실한 기록은 늘 변화되는 그 대상의 진면목에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물의 본질에 대한 관찰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카메라를 메고 고향 장흥의 마을을, 장흥의 산하를, 장흥 사람들을 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마동욱의 사진이 사진의 미학을 넘어 그 존재의 미학을 더 구체적으로 드러내주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 10년, 20년 후면 우리나라 고향마을 절반은 영원히 사라질 지도 모른다. 갈수록 사람들이 사라져가고 아이들 울음소리도 멎어가고, 마을이라는 그 공동체의 얼굴도 점점 닳아지고 있으며 정(情)도 사라지고 기운도 옅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번 2권의 사진집은 대부분 드론사진들이다. 드론 사진을 찍는 사진작가는 국내에서도 소수에 불과하고 더욱 드론 사진집은 아직 발간되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번 드론 사진집은 국내에선 초유의 드론 사진집이고, 드론으로 담아낸 고향마을 사진집도 처음 있는 일이어서 드론 사진집 <하늘에서 본 장흥>등은 그만큼 사진계에서도 획기적인 일로 평가되고 있다.

점점 사라져가고 변화되어 가고 있는 우리의 고향마을. 이 고향의 얼굴을 담은 사진집이 바로 마동욱의 <하늘에서 본 장흥>과 <고향의 사계>다. 그러므로 마동욱의 고향 사진은 고향의 역사가 되고 있다. 흘러가지만 그러나 영원히 기억될 우리들 고향의 역사이다. 장흥의 역사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먼 훗날 전설처럼 회자될 우리의 ‘고향’이 사진작가 마동욱에 의해 영원히 살아 숨 쉬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