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사가 명(明)에 순종하는 구걸하는 역사였다면, 고려의 역사는 송(宋)에 맞서 대항하며 어깨를 쳐들고 으스대며 꼿꼿했던 역사였다. 그럼에도 기록과 문헌이 많지 않고 역사가 잘못 전해진다.

시조의 처음이 우탁이라고 하지만, 그 보다 280여년이 앞선 해동공자로 일컬어지고 있는 최충의 시조 2수가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4세기가 아닌 11세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을 상기하며 최충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보배로만 여길 뿐 사람에겐 전할 수 없네(未傳人)로 제목을 붙여본 칠언절구다. 작자 성재(惺齋) 최충(崔沖:984~1068)은 해동공자로 불린다. 사학십이도인 문헌공도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학교 교육의 아버지로 그가 세운 9재학당은 사학교육의 원조이자 고려시대 문신 배출의 산실이었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뜰에 가득한 달빛은 연기 없는 촛불이요 / 자리에 드는 산 빛은 초대하지 않은 손님이네 // 다시 소나무 현이 있어 악보 밖의 곡을 연주하느니 / 다만 보배로이 여길 뿐 사람에겐 전할 순 없네]라는 시상이다.

고려 역사를 아는 사람이라면, 최충이란 이름은 그리 생소하지 않다. 최승로가 유교적 정치개혁에 공헌한 인물이라면, 최충은 유교 교육을 제대로 받은 인물을 배출하는 데 이바지한 인물이라 평가된다. 실제 유교경전에 바탕을 둔 그의 학문교육은 유학이 꽃피울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사학교육의 아버지다.

최충의 문장은 시구 몇 절과 약간의 금석문자가 전해질 뿐 무인의 난으로 문신이 살해되고 그들의 문집도 불태워질 때 함께 없어진 탓이라 한다. 지금 볼 수 있는 것은 원주 거돈사의 비문(碑文)과 직산 홍경사의 갈기(碣記)가 남아 있을 뿐이다.

화자는 자연을 기묘하게 표현하는 재주와 시심을 부린다. 달빛은 연기 없는 촛불이요, 산 빛은 초대하지 않는 손님이라고 표현하면서, 소나무 ‘현’이 악보를 연주하고 있다고 표현한다. 이와 같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자연이 주는 메시지를 어찌 사람에게만 다 전달할 수 있겠는가라고

묻는데서 묘미를 찾는다.

未傳人(미전인)- 성재 최충

뜰 가득 달빛 촛불 산빛 초대 없는 손님
소나무 현이 있어 악보 없이 연주하니
나 혼자 보배로 여길 뿐 전할 수는 없다네.

滿庭月色無烟燭 入座山光不速賓
만정월색무연촉 입좌산광불속빈
更有松絃彈譜外 只堪珍重未傳人
갱유송현탄보외 지감진중미전인

한자와 어구】
滿庭: 정원에 가득하다. 月色: 달빛. 無烟燭: 연기 없는 촛불. 入座: 자리에 들다. 不速賓: 초대하지 않는 손님. // 更有: 다시 ~이 있다. 松絃: 소나무 현. 彈: 타다 연주하다. 譜外: 악보 밖, 곧 악보 없는 악보. 只: 다만. 堪珍: 보배로 여기다. 重: 거듭. 未傳人: 사람에게 전하지 못하다. <문학평론가ㆍ시조시인//사)한교원 이사장>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