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들은 가난한 삶을 살았다. 보릿고개라 하여 늦봄을 지내는 시가가 어려웠고 동지섣달 긴 밤 보내기는 더욱 힘들었다. 그렇게 질곡(桎梏)의 시간을 보내며 살았다. 처자들이 삯바느질 하는 것, 총각들이 머슴살이 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었다. 여기에선 나이 연만한 처녀가 부잣집 처자 삯바느질로 연명하며 살아가는 자기의 딱한 처지를 시문으로 읊고 있다. 하루같이 새우잠 자는 안타까운 처자 자신의 모습을 아래와 같이 번안해 본다.

가난한 집 아가씨를 읊음(貧女吟)으로 자기 신세를 한탄한 오언절구다. 작자는 난설헌(蘭雪軒)으로 알려진 허초희(許楚熙:1563~1589)로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의 누이다. 불행했던 자신의 처지를 시작으로 달래어 섬세한 필치와 여인의 독특한 감상을 노래했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가위로 싹둑싹둑 옷 마르노라 / 추운 밤에 손끝을 호호 불리네 // 시집살이 길쌈 옷은 밤낮이건만 / 이내 몸은 해마다 새우잠자니 언제나 시집갈까]라는 시상이다.

보릿고개란 말은 최근세사에 생겨난 말이겠다. 문헌에 의하면 우리 선현들의 생활은 대체적으로 가난했다. 양반과 서인의 구별이 엄격한 사회에서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이지만 사실은 그러했다. 사대부들은 사랑방이나 누각에 앉아 풍류를 음영했던데 반하여 서인들은 생활 자체가 노동이고 품앗이였다. 여자는 바느질이요, 남자는 머슴이라고 했듯이 남의 일을 해 가면서 겨우 연명해 가는 삶이었다. 이 작품은 이러한 시대적인 배경 속에 쓰여 진 것이라고 해야 하겠다.

시인은 새우잠을 자면서 삯바느질로 연명해 가는 처지를 여과 없이 나타내고 있다. 남의 처자 바느질도 지겨웠겠지만 해마다 바느질로 새우잠을 자는 자기의 처지를 비관하며 시집갈 날을 기다리는 심회까지 담고 있다. 옷 한 벌도 아껴야 한다는 암시적인 메시지도 무르 녹아있다.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작품이겠지만 작자 자신이 시적 화자가 되었을 것이란 짐작은 쉽게 한다. 허균 일가가 몰락하다시피 가난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인은 시집도 가지 못하고 해마다 길쌈만 하면 새우잠을 잤을 것은 분명하다.

【한자와 어구】
手把金: 손으로 가위를 잡다, 剪刀: 칼(가위)로 자르다. 夜寒: 추운 밤에. 十指: 열손 가락. 直: 바르게 펴서 입김으로 불다. // 爲人: 다른 사람을 위하여. 作嫁衣: 남의 처자 시집갈 옷을 깁다(만들다). 年年: 해마다. 還: 새우잠 자는 것이 돌아오다. 獨宿: 시집가지 못한 신세 홀로 자다.
/시조시인ㆍ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貧女吟(빈녀음)/난설헌 허초희

추운 겨울 손을 불며 가위질과 옷 마르며
남의 처자 시집갈 옷 밤낮없이 하는 길쌈
해마다 새우잠 자는 이 몸 언제쯤 시집갈까.

手把金剪刀 夜寒十指直
수파김전도 야한십지직
爲人作嫁衣 年年還獨宿
위인작가의 년년환독숙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