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산단은 지난 2008년 1월 전라남도와 장흥군, 전남개발공사간의 사업 추진에 대한 협약이 체결된 후, 동년 12월 산업단지 지정, 다음해인 2009년 12월 1일 기공식이 이루어진 후 순조롭게 조성공사가 진척되고 있다.

88만평의 부지에 사업비 2,200억원을 투입해 내년 말까지 공장 터를 닦고 골프장을 유치하게 되면, 20% 가까운 녹지를 갖춘 친환경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전자 제조, 식품, 화학, 광학기기업체들이 입주하고 연 12만명의 고용유발과 1조7천억원의 생산유발효과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선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도 있게 되는 것이 세상의 이치. 이처럼 산단이 조성되면서 그리운 고향마을과 정든 산하를 잃게 되며 고향땅을 떠나야 하는 산단 부지의 마을과 마을 사람들의 애환도 있게 마련이다. 이에 본지는 몇 회에 걸쳐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해당산단 마을과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를 집중 게재하기로 한다. <편집자 주>


3.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해당산단 마을들/화산마을

▼삼산리 삼산1구 화산마을

화산 마을은 사자산 기슭에 조성된 마을로 장흥읍이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마을이다.
마을입구에 선돌이 있어 선사시대 주거지로 추정되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고려 말 경 무명(無名)의 도사가 이곳을 지나다 사자산맥에 연꽃이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산 이름을 ‘연화봉’이라 했고, 그 이후 이곳에 촌락이 이루어지면서 마을 이름을 화산(花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연꽃은 양지바르고 평탄한 곳에 성(盛)하다’는 설에 따라, 마을 터 일부가 아래로 옮겨지면서 성촌이 되고 이 마을을 소산(小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마을 우편 쪽(선정마을 쪽)에 있는 야트막한 야산 너머로 외화산(外花山)이 있었는데, 어느 때(동학혁명 이후로 추정)인가 폐촌이 되었고, 그 후 처음에 생긴 화산과 소산, 오만동(마을 왼편 야산 너머에 있던 마을) 세 마을을 합해 삼산리(三山里)라고 불르게 되었으며,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산1구로 불리어 오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1600년경 덕수장 씨(德水張氏) 선홍(善弘)이 처음으로 이곳(지금의 화산마을 위쪽)에 터를 잡았으며, 그 후 1620년경 청주한 씨(淸州韓氏) 일백(逸伯)이 입주하고, 이어 김해김 씨(金海金氏)가 입주하면서 성촌이 되었다고 한다.

1980년대 초반에는 김해김씨 9세대, 밀양박씨 5세대, 기타 성씨 20세대 등 40세대에 인구도 200여 명에 이르렀으나, 최근에는 세대수와 인구 수가 줄어 30세대, 60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중에서 현재(2월 20일) 마을을 떠난 세대는 3세대지만, 오는 6월쯤이면 거의 모든 세대가 마을을 뜰 것이다.

화산마을은 사자산 기슭에 자리한 화산마을 맨 위쪽에는 동향표고 영농법인(대표 이홍희. 삼산리 337-1번지)가 자리하고 있다.

지금 동향 표고 바로 밑으로 새집들이 들어서고 있다. 산단 조성으로 이주하는 화산마을 사람들이 이곳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새집을 짓고 있는 가구는 5가구. 여기에 화산마을에서 이주대상에서 벗어난 가구는 5가구를 포함하면 10여 가구가 화산마을에 존속하게 된다. 그 외 마을 사람들은, 장흥군에서 조성 중인 이주단지 및 임대아파트로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현재 장흥군에서 건산리 일대에 318세대 규모로 임대아파트를 조선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노진(74) 이장도 마을 위쪽에 새집을 짓고 있다. 박씨 집 바로 밑이 산단부지와 한계선이다.
“산단으로 없어지는 네 개 마을 중 유일하게 화산마을만 존속하게 된다”고 말한 박노진 씨는 “내 땅이고 해서 다른 곳으로 이주할 필요가 없어 여기에 새집을 짓게 되었다”면서 “전망도 좋고, 나 말고도 다섯 가구가 여기에 새집을 짓고 있어 함께 여기에 눌러앉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씨는 또 “당초 마을이 형성되었을 때 덕수장 씨들이 바로 우리가 새집을 짓고 있는 이곳에 집을 짓고 살았다”면서 “덕수 장 씨들도 거의 모두 떠나고 집이 들어섰던 곳에 밭이 생겨나곤 했지만, 오늘날 산단이 조성되면서 덕수장 씨들이 살던 이곳에 새로운 사람들이 집을 짓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따지고 보면, 몇 세기를 지나 덕수장 씨들이 모여 살던 곳에 다시 사람들이 모여 살면 덕수장 씨들이 일으킨 화산마을을 계속 이어가게 된 것이다.


4.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해당산단 마을들/산정마을

▼삼산리 삼산2구 산정마을

삼산 2구 산정마을은 사자산과 제암산 밑에 위치한 마을로 묘덕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축사에 소를 많이 키우고 표고버섯도 많이 재배하고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입지적으로 해당산단의 골프장이 들어서는 것으로 알려진 이 마을은 전형적으로 온후, 순박한 농촌마을이다. 지난 1997년에 법무부가 지정하는 ‘범죄 없는 마을’로 지정된 이후 4년마다 지정하는 ‘범죄 없는 마을’로 3년 연속 지정받아 12년 이상을 범죄가 없는 마을이 되었다.

마을 유래는, 1980년대 초에는 광산김씨 9세대와 기타 성씨 16세대 등 25세대가 있었고 인구도 116명인 중촌에 이르렀으나 최근에는 총 20세대에 인구 수도 40여 명에 불과한 소촌이 되고 말았다.

사자산 쪽에서 제암산을 바라보며 청풍명월과 서산낙조 즐기는 선비들의 휴식처인 산정(山亭)이라는 정자가 있어 ‘산정’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산 2구’라 칭한다.
구전에 의하면, 덕수장 씨가 화산마을에 이어 이곳에 처음으로 터를 잡은 이후, 광산김 씨가 입주하면서 마을이 성촌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마을 윗부분에 입석 석조물이 나뒹굴며 남아 있고, 마을 북쪽에는 고인돌 1기가 남아 있어 산정마을은 선사시대부터 형성되어온 마을이었고, 처음에는 마을 북쪽에 촌락이 형성되었다가 농경생활이 활발해지면서 차츰 산 아래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으며, 지금의 마을이 형성된 시기는 인근의 화산마을과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재중 전 군의원에 의하면, 마을 부근 우편 잔등 너머로 외화산(外花山)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마을은 18세기 동학혁명 이전에는 1백여 호의 부촌이었으나, 동학혁명 이후로 폐촌이 되고 말았다고 한다.

산정마을은 소촌이긴 해도, 비교적 인물을 많이 배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무관 출신으로 대불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관악구협의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김용채 박사(70)도 이 마을 출신이다.

법무사 출신으로 지난 1985년부터 최근까지 근 25년 동안 산정마을과 금산 3구 신기마을의 후학들에게 매년 장학금을 전달, 두 마을 초중고생 1백여 명에게 장학금 혜택을 받도록 한 김용배(80) 씨도 이 마을 출신이다.

이밖에도 전 군의원을 역임한 김재중(75) 씨, 김재중씨 장남으로 미국 스탠포드대학에서 공학 박사(기계설비) 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는 현대자동차 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명훈 박사(38), 장흥신문 초대사장(발행인)을 역임한 김한수(77)씨, 노옥기 장동면장(58), 노옥기 면장의 넷째동생으로 과학기술부 원자력정책과에서 사무관으로 근무하는 노수기(46)씨, 역시 노옥기 씨 다섯째 동생으로 목표해양대학교 해상운송 시스템학부 교수인 노창균 박사(43)도 산정마을 출신들이다.

/글-김선욱, 사진-마동욱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