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남진 장흥 물 축제 성공을 위한 제언


■ 축제개발 기본 방향


축제를 개발함에 있어 그 기본은 현대인의 대표적인 가치관인 웰빙(Well-being : 개인이 건강하게 잘 먹고 잘 살고자 하는 생활방식) 및 로하스(LOHAS :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후손들까지 건강하게 잘 먹고 잘 살게 하고자 하는 생활방식으로 환경적 가치에 높은 비중을 두는 현대인의 대표적 가치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축제 상품 개발이어야 한다. 또 축제를 통한 장흥군의 관광 경쟁력 확보가 전제되어여 한다. 즉 지역 이미지 제고와 관광효과 극대화 방안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주민 중심의 축제를 이제는 관광객 중심의 문화관광 축제로 개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케팅 컨셉의 도입으로 국가지정 문화관광 축제 토대 마련하는 것이 좋다.

또 축제를 통한 지역 자원 활용방안 모색과 산업화 전략 수립도 필요하며,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누구나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축제 모델’의 개발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 축제의 차별화 전략


성공한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축제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먼저 축제 기획의 차별화가 요구된다. 즉 ▶특산물 판매를 이미지 판매로 전환하여 고부가가치화(함평 나비축제 등) ▶웰빙 및 환경친화 등 현대인의 욕구를 반영(무주 반딧불 축제 등) ▶재래시장, 지역 관광명소 등 고유의 하드웨어 활용(금산 인삼축제 등)이 그것이다.

둘째, 프로그램 차별화도 필요하다. 즉 ▶킬링 컨텐츠(killing contents)의 개발로 홍보효과 극대화 ▶스토리텔링(story-telling)기법을 통한 축제의 극적효과 및 관광 ▶매력성 제고 ▶야간 프로그램의 강화를 통해 체류 관광객을 창출하고, 프로그램 몰입도 제고 ▶명확한 표적시장 선정을 통한 매니아(mania) 축제 지향(춘천 마임축제, 강경 젓갈축제 등) ▶참여, 교육,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가족단위 관광객 유치 등이 그것이다.

셋째, 축제운영 및 경영 차별화도 요구된다. 즉 ▶지역 연관기업의 협찬 확대 등 경영 마인드 도입(청도 소싸움축제, 진주 유등축제, 인제 빙어축제, 캐나다 스탬피드 축제 등) ▶난장적 요소와 같은 축제의 본원적 기능 확대(스페인 토마토축제, 보령 머드축제) 등이 그것이고, 축제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축제행정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주도형을 정착 후에는 축제 노하우 전수 및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민간 주도형이 바람직하다.


■ 축제의 장기발전 방향


현대의 축제는 각 지역의 문화와 역사, 사회의 총체이므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축제에서의 의식은 지역민의 일체감을 조성하고 전통문화를 보존하며, 외지인의 축제참여로 인해 경제성이 중시됨으로써 관광적 기능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축제는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어울리며, 교류하고, 만족하면서 즐거운 추억을 만들어 내는 시간이요 공간으로서 만족과 추억이라는 효용을 거래하는 생산과 소비가 일체화된 서비스 상품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축제는 개인이 혼자 개최할 수 없는 사회적 의식이며, 여러 사람이 모여서 집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지역 고유문화의 발전계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축제는 축제장을 찾는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우리”라는 공동체적 개념을 심어주고, 더 나아가서는 지역문화 체득의 기회제공은 물론 지역문화를 이해시키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또, 과거의 축제가 전통사회의 자연발생적인 의식이라면 현대의 축제는 인공적인 의식이라고 할 수 있음. 따라서, 현대의 문화관광축제는 시대적 변화와 이에 따른 동시대인의 의식을 창조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탄력성을 가져야 한다.

현대축제는 신성성이 감소된 반면 유희성이 강조되고 있다. 즉, 축제는 여가활동의 일종으로 간주되어 관광객들에게 억압된 감정과 행동 표현의 기회인 동시에 전통과 환상 속에서 인간의 고귀함을 깨닫는 기회가 된다. 따라서 축제에는 흥겨움이나 환호, 재미, 신명, 들뜸, 놀람, 창조, 해방, 긍정, 난장, 즐거움 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창조적 카오스(chaos)” 기능이 구체적인 방법으로 반드시 존재하여야 한다.

문화관광축제가 지역을 활성화 시키고, 개최지역 주민 및 관광객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는 축제가 비즈니스 활동과 교육문화 활동 등으로 그 기능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함. 다른 지역에서 개최되는 유사한 축제의 복사나 축소판 형식으로는 이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그 지역의 인문, 자연적 특성에 맞는 축제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축제가 총체예술의 형식을 띨 수밖에 없는 것은 대체로 축제 프로그램이 그 시대 그 사회 공동체 구성원들의 생활 문화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제의 프로그램은 현대인의 삶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야 하고 예술과 과학의 총체화를 지향하여야 한다.

축제가 일과성 행사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 것은, 축제 기획자들이 다소 특이한 프로그램 한두 개로 축제참가자들에게 일상의 권태를 씻어 줄 수 있다는 안이한 발상을 하기 때문임. 따라서, 축제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는 방법은 축제를 일과 여가 양면에서 삶과 문화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회로 활용하여야 한다.


■장흥 물 축제 발전을 위한 제언


축제기획 측면에서 슬로우시티, 정남진 등을 포괄할 수 있는 단일 이미지 명칭을 개발하여야 한다. 즉, ‘장흥 물 축제’와 같은 명칭은 단순하고 이미지 형상화가 가능하지만 “물”의 속성이 광범위 하고, 어느 지역에서나 볼 수 있는 보편적 자원이므로 ‘왕의 물 축제’(충남 연기군)와 같은 차별적 명칭을 사용해야만 관광 매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는 장소 및 공간을 편성하고, 기존의 관광 명소나 인프라를 충분히 활용하여 진행(군청 청사개방 등)해야 하며, 휴가철, 주말, 일기상황 등을 고려하여 개최시기 및 기간을 결정하고 악천후도 대비한 준비가 있어야 한다.

또 물의 산업화를 통한 축제 장기 발전 전략 수립(지역연고 산업 발전계기)도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측면에서, ‘세계 최고 높이 물 분수’ ‘10미터 물 고무풍선’ ‘10킬로미터 물 터널’ 등과 같이 언론 및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킬링 컨텐츠 (killing contents) 개발이 필요하다.

또 물을 소재로 하는 전설, 설화, 우화, 동화 등을 발굴하여 스토리 텔링(story-telling)기법을 통해 프로그램의 극적효과 및 관광 매력성을 제고(북청 물장수, 봉이 김선달 등)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야간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체류 관광객을 창출하여 경제적 효과를 제고 시키고, 지역 문화 전파 및 프로그램 몰입도를 제고시켜 재 방문객을 창출해야 하다.(진주 유등축제, 안동 선유 줄불놀이, 제주 정월 대보름 들불축제 등)

또 휴가관광객, 피서객 등 가족단위 관광객 유치를 확대하기 위한 참여, 교육, 체험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셋째, 축제운영 측면에서, 물 관련 기업 및 지역 연관기업의 협찬을 통해 축제 재원 마련, 일부 프로그램의 유료화 가능성이 검토되어야 하며 휴가객, 도시 관광객들이 즐길 수 있는 탈 일상 공간 및 난장 마련(loess sliding park 등)도 필요하다.

그리고 축제 노하우 축적 및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자문단 구성(군내외 전문가) 및 외부전담인력 채용(인제 빙어 축제, 금산 인삼 축제 등)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