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에서 사는 즐거움들 가운데 하나는, 억불산 위에 앉아 계시는 그 숭엄한 분을 늘 배알하곤 하는 것이다.
억불산을 먼 곳에서 바라보면, 머리 부분에 한 개의 거대한 남근석이 총포처럼 우뚝 솟아 있는 듯싶다. 그런데, 가까이 가서 보면 그것은, 한 여자가 숭엄하고 자비로운 표정으로 앉은 채 세상을 굽어보는 모습으로 바뀐다.

그 숭엄한 분의 얼굴 표정이 가장 확실하게 드러나는 시각은 오후 네 시에서 다섯시 반 사이이고, 그 표정을 제대로 읽을 수 있는 장소는 남도대학 건물 너머의 예비군훈련장 옆 손씨네 별장 안팎이다. 탐진강을 가운데 둔 석대들판 저쪽으로 기우는 석양빛이 그분 얼굴을 분명하게 조명해준다.

택시를 타거나 친지의 차를 타고 읍내엘 오고갈 때 나는 산위에 앉아 계시는 그 숭엄한 분을 우러러보면서 이야기를 나누곤 한다. 그러기 위하여 나는 미륵댕이라는 산굽이 길을 버리고, 남도대학 교문 앞을 지나 억불산 자락 하나를 넘어 다닌다. 일본 여행 중, 고구려 때의 담징 스님이 그린 일본 법륭사의 관세음 보살상을 본 적이 있는데, 억불산 위에 계신 분의 얼굴 표정과 앉은 모양새가 바로 그 관음상의 얼굴이나 표정과 흡사하다.

아니 산 위의 그분의 얼굴과 자세는 담징의 그것보다 훨씬 그윽하고 숭엄하다. 바라보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보는 자가 품고 있는 마음과 생각에 따라 그 형상이 여러 가지로 달리 보인다. 어느 조각가가 과연 그렇듯 숭엄하고 자비로운 불상을 조탁해낼 수 있을까.

그 산 아래, 손씨네 별장 옆에는 ‘목탁골’이라는 곳이 있다. 그곳에는 지석묘들이 지천으로 널려 있는데 안목 없는 사람들이 그곳 동편에 예비군 훈련장을 만들어 놓았다. 좌우간 목탁골에서 산 위를 쳐다보면 그 숭엄한 분을 가장 잘 배알할 수 있다. 그곳은 예로부터 많은 불제자들이 순례하면서 예배를 드리고 가곤 하였으므로 늘 목탁 소리가 들려오곤 했고, 그리하여 목탁골이란 이름이 생긴 것이다.

이땅에 사는 대개의 사람들은, 미국 너새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의 전설에 대해서는 알면서도 전라도 장흥의 억불산 위에 앉아 계시는 억불(구세주)에 대해서는 모른다. 장흥에 의로운 인물들이 많이 나온 것은, 인민을 구제하는 그 숭엄하고 자비로운 분 때문이 아닐까. 산 위의 그 숭엄한 분에 대하여 슬프고 무서운 전설이 전해 온다.

흉년이 거듭 들어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어가는 판국에, 관세음보살이 한 비구스님으로 현신하여 탁발을 해다가 구휼을 하곤 했다. 한데 부자들이 사는 성 안 사람들은 곡식을 내놓으려 하지 않았다. 한 부잣집에 들어가니 며느리가 시부모 모르게 곡식을 많이 내놓았다. 현신한 관세음보살이 그녀에게 말했다.‘잠시 뒤 홍수가 져서 이 인색한 자들의 마을이 모두 잠길 터이니 그대는 당장 서둘러 저 산 너머로 피신하시오. 홍수로 죽어가는 사람들이 아무리 살려달라고 아우성을 치더라도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마시오.’ 며느리가 산으로 피신을 하는데, 홍수로 마을 전체가 잠겼고 사람들이 살려달라고 비명을 질렀다. 정상 부근에 이른 여인은 문득 생각했다. 다들 죽어 가는데 나 혼자서만 살아 어찌하겠다는 것이냐. 저들을 구해야 한다. 물에 잠겨 죽어가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몸을 돌리는 순간 꽈당 벼락이 떨어졌고, 그 여인은 그 자리에서 지금의 ‘미륵’의 형상이 되었다.

그런데 억불숭유의 조선조 사람들은 이 전설 가운데 끝부분을 잘라 없애고 ‘며느리 바위’라고 명명한 것이다. 그 바위의 원래 이름은 ‘금(神)미륵’이었다. 백제 때에 장흥의 이름은 ‘고마미지(古馬彌知)’이고 신라 때 이름은 오현(烏縣)이었다. 금(神)미륵이 있는 땅이라는 것이다. 억불(億佛)은 억 개의 부처가 있는 산이라는 뜻이 아니고,‘인민을 구제하는 미륵부처’가 있는 산이란 뜻이다. 옥편을 열어보면 ‘억(億)’은 ‘인민’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 글자이다. 읍내엘 오갈 때마다 산 위의 그 자비롭고 숭엄한 얼굴은 나에게 말하곤 한다.‘혼자만 잘먹고 잘사는 것은 잘못된 삶이다. 죽어가는 것들을 구제하여 더불어 살아야 한다.’

2006-09-27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